HOME > 자료실 > 자료실
자료실
- 2008년 제41회 추계학술대회 참가 발표(한국분석과학회)
- 항목 : 연구내용 조회수 : 10878
-
환경분석센터에서는 2008년 11월20일~21일 한국분석과학회 주관하는
제41회 추계학술대회에 참가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내용을 발표하였습니다.
---------------------아 래---------------------
* 먹는물 내 할로아세트산의 끓임에 의한 제거와 정수기 필터에 의한 제거 비교
(발표자 : 권복순,김영수,최새나,홍성원,이강진)
정수처리공정에서 처리수내 미생물 살균과 관망내 미생물 활성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염소소독을 하고 있다. 이러한 소독과정에서 트리할로메탄(Trihalomethanes, THMs)과 할로아세트산류(Haloacetic acids, HAAs)와 같은 소독부산물이 생성되고 있고, 이러한 물질은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다. 서울시 수돗물에서 정수, 직수, 탱크수의 소독부산물 농도를 분석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관말로 갈수록 소독부산물의 농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통해 배급수관에서 유리잔류염소(0.2 mg/L 이상)와 잔존 유기물의 지속적인 접촉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따라서 수도꼭지 수에는 먹는물 수질기준(0.1 mg/L)보다는 작은 농도이기는 하나 소독부산물을 함유할 가능성이 있다. 대부분의 가정에서 수돗물을 가열 또는 끓임에 의해 요리, 차나 커피를 마실 때 사용하고 있고, 샤워나 세탁 시에도 물을 가열하여 사용하고 있다. 수돗물을 음용할 경우에는 가열하는 것 외에 정수기를 사용하여 여과된 물을 마시기도 한다.
THMs은 휘발성이 강한 것으로 끓임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나, HAAs는 끓는점이 180~200 ℃로 끓임에 의한 제거가 일어날 것인지 연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독부산물 중 할로아세트산이 함유된 물을 가지고 가열 또는 끓임에 의한 방법과 정수기 내에 장착되어 있는 활성탄필터와 멤브레인 필터를 통해 여과시키는 방법을 통해 할로아세트산 제거성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끓이는 온도와 시간에 따른 HAAs의 농도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정수기 내 필터에 의한 것은 HAAs의 농도변화를 압력과 여과량에 따라 비교하였다. 두 가지 방법 모두에서 초순수 및 수돗물에 HAAs를 일정농도로 제조하였으며, HAAs의 농도 분석방법은 GC-MS를 사용하였다.
* SPE 카트리지를 이용한 무기비소의 현장 종분류와 ICP-MS-DRCe를 이용한 실내분석법
(발표자 : 김연태,이영화,김성환,이강진*)
비소는 존재 형태에 따라 다양한 독성을 나타내므로, 현장의 비소 오염 정도를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비소 종별 분석이 필수적이다. 국내에서 비소 오염이 보고된 광산 인근지역의 지하수 및 하천수에서는 주로 무기상태의 비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료채취 후 실내분석을 할 때 까지, 시료의 변질을 막기위한 다양한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 중 anion exchange resin을 이용한 현장 종 분리는 이러한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하며 시료 보존 기간도 상대적으로 길어 현장 적용에 매우 큰 장점이 있다. 그러나, As(V)가 미량으로 존재하는 경우 ArCl 간섭 때문에 ICP-MS 사용에 제한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ArCl 간섭을 최소화한 Dynamic Cell Reaction mode를 사용하여, SPE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비소 종을 분리한 시료의 분석 조건을 최적화 하였다.
<학회개요>
(사) 한국분석과학회는 분석과학, 기기분석 및 그 응용에 관한 학술과 기술의 발전 및 보급에 기여 함으로써 과학과 분석기술의 진흥에 이바지함에 목적을 두고있다.1998년에 창립한 한국분석과학회는 화학, 환경, 재료, 약학 농학, 보건, 식품, 화공, 법과학 등 다양한 분석전문가들이 모여 학문 및 분석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주요사업>1. 연구 발표회, 강연회의 개최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연2회 : 5월, 11월)
2. 회지, 학술간행물 및 도서의 간행 (년6회 학회지 발행)
3. 연구의 장려와 우수한 업적의 표상 (선일분석과학상, 디아이분석과학상)
4. 학술의 국제교류(한·호 분석과학회, Asianalysis 학회 공동개최 한·일 GC심포지움)
5. 기타 본 회의 목적달성에 필요한 사업